'영화 1편 내려받는데 2초' 5G 스몰셀 기지국 SW 개발
김만기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2025.03.04
ETRI, 퀄컴, SK텔레콤 등 국내외 기업들과 함께 개발 두 가지 네트워크를 동시 연결해 끊김없는 통신 가능 ETRI 연구진이 스마트폰 40여대를 실행시키면서 4Gbps 지원 5G 스몰셀 기지국 SW 기술의 성능을 시험하고 있다. ETRI 제공 [파이낸셜뉴스]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은 다운로드 속도가 최대 4Gbps에 달하는 5세대 이동통신(5G) 스몰셀 기지국 소프트웨어(SW)를 개발했다고 4일 밝혔다. 이 속도는 풀-HD급 영화(5GB) 1편 분량의 데이터를 2초도 안되는 시간에 내려받을 수 있는 속도다.
이는 5G 스몰셀 중 세계 최고 수준으로 영상통화와 게임 같은 서비스가 끊기지 않도록 두 가지 네트워크를 동시에 연결해주는 '이중연결성 기술'을 활용했다. 향후 스마트 제조, 스마트 공장, 국방망 등 높은 서비스 품질을 요구하는 5G 특화망에 활용될 것으로 보인다.
ETRI 연구진은 "이 기술이 상용화되면, 통신이 원활하지 않은 밀집된 환경에서도 손바닥만 한 크기의 스몰셀로 100명이 동시에 40Mbps의 속도로 안정적인 통신을 이용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연구진은 특히 퀄컴과의 국제 공동연구를 통해 5G 스몰셀 모뎀 기술을 보유하고, 상용 환경에서도 활용할 수 있는 국산 스몰셀 통신 SW를 개발했다. 또 유캐스트, 콘텔라, 한화시스템, SK텔레콤 등과도 함께 연구했다.
지난해 12월에는 국내외에서 시판 중인 5G 단말과의 상호 호환성 검증을 완료해 즉시 상용화가 가능한 상태에 이르렀다. 이 기술을 활용하는 기업들은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을 빠르게 창출할 수 있으며, 기존 외국산 장비 대비 저렴한 비용으로 경쟁력을 확보할 것으로 예상된다.
ETRI 백용순 입체통신연구소장은 "5G 스몰셀 SW 기술 개발로 이동통신 기술의 국내 산업 경쟁력이 강화됐다"며, "이번 기술이 6G, 오픈랜 등 다양한 이동통신 기술에서도 활용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번 개발과정에서 SCI 논문 11건, 국내·외 특허 출원 103건, 특허 등록 9건, 국제 표준 17건, 기술이전 10건이라는 성과를 거두었다. 현재 기술이전을 받은 국내 기업들은 3.4㎓ 대역과 4.7㎓ 대역의 스몰셀 제품을 출시하며 상용화를 진행 중이다. 기존 이동통신 기지국이 넓은 지역을 커버하는 반면, 스몰셀은 좁은 범위에서 고속·고품질의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하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스몰셀을 통해 실내에서도 끊김없는 초고속 이동통신을 사용할 수 있게 한다. 연구진은 "특히 서비스 품질보장 기술 덕분에 다수의 사용자가 동시에 서비스를 이용하더라도 영상통화, 실시간 스트리밍, 로봇 원격 제어 등 특수 서비스의 품질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monarch@fnnews.com 김만기 기자
|
|